성조숙증검사 실비 보험 처리 관련해서

성조숙증검사 실비 보험 처리 관련해서 좀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성장판이 발달되기도 전에 2차 성징이 오게되면 키성장이 더뎌지고 뼈의 골밀도가 약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요즘은 키에 굉장히 민감하기 때문에 약간의 조짐이 보이면 무조건 가서 검사를 받으라고 말합니다.

평생 후회하게 될 수 있으니 말이죠.

검사는 키와 몸무게를 측정하고 엑스레이 촬영에 혈액검사, 소변검사 등으로 진행되는데 추가적으로 초음파나 호르몬 검사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검사를 다 받으면 비용은 대략 30~50만원정도가 나옵니다.

키성장을 염두에 두고 확인차 검사를 받은 게 아니라 성조숙증이 의심되어 진료의 목적으로 검사를 했다면 건강보험이 적용됩니다.

보험청구는 당연히 가능한데 대신 병원에서 비급여로 치료를 진행하면 좀 귀찮은 일이 생깁니다.

비급여는 실비처리가 안 된다고 하는 경우가 많아서 이걸로 왔다갔다하면서 사람 시간 잡아먹게 만들기 때문에 처음부터 보험사에 확실한 설명을 듣고 검사를 받는 게 좋습니다.

1일 통원최대금액 문제

가입한 보험에 보면 1일 통원최대금액이 나와있습니다.

자녀에게 가입된 상품에 따라서 그 금액은 다른데 1일 통원최대금액이 30만원이고 받을 수 있는 보험료가 40만원이라면 받을 수 있는 금액은 30만원이 됩니다.

1일 최대금액이 30만원이기 때문에 그 이상은 받을 수 없는 겁니다.

따라서 1일 통원최대금액보다 더 병원비가 많이 나왔다면 이를 이틀에 나눠서 진료하는 걸로 조율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먼저 보험사에 방문해서 가입내역을 확인해보고 통원최대금액이 얼마인지 확인 후 검사를 받기 전에 이를 알려주면 병원에서도 그에 맞게 검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금액이 얼마 차이가 안 난다면 괜찮지만 10만원이 넘게 차이가 난다면 아까울 수 있으니 먼저 확인하시고 방문하는 게 좋습니다.

성조숙증 치료 관련

검사를 해서 성조숙증으로 판명이 되면 치료를 시작하게 됩니다.

그때부터는 조건을 충족해야 보험 적용이 가능해지는데 여아는 만 9세 이전, 남아는 만 10세 이전에 치료를 받아야 보험 적용이 가능합니다.

진단일이 아닌 치료 시작일로부터 보험이 적용되므로 치료는 빨리 시작하는 게 좋습니다.

골연령이나 성숙도는 병원에서 다 알려줄거고 진료확인서 제출도 질병코드 E30.1로 해서 청구하면 됩니다.

질병코드가 달라서 보험 적용이 안 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병원에서 질병코드 E30.1로 변경해달라고 요청하면 변경할 수 있습니다.

모든 병원이 다 되는 건 아니지만 최대한 환자에 맞춰서 진료확인서는 써주실테니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성조숙증 치료 기간은?

보험적용이 되면 치료비는 월 10~15만원정도 나옵니다.

기간은 보통 2~3년정도로 나오지만 5년까지 치료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보험이 적용되지 않으면 1~2천만원정도 치료비가 청구되기 때문에 아이의 변화를 최대한 빨리 캐치해서 검사를 받아보는 게 좋습니다.

보험이 적용되는 나이가 지나면 치료비 부담이 그만큼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치료방식은 성호르몬 분비를 억제해서 급성장을 막는 대신 성장 속도를 꾸준히 유지하기 떄문에 성장이 멈추지 않도록 해줍니다.

성장판이 닫히는 시기를 늦춰서 최종 신장을 더 키워주는 효과도 얻을 수 있습니다.

오늘은 성조숙증검사 실비 보험 처리에 대해서 간단하게 이야기를 해봤습니다.

아이마다 골연령이나 상황이 다 다르기 때문에 자세한 것은 역시나 검사를 받은 후에 결정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실비는 그래서 무조건 하나 가지고 있는 게 좋으며 치료를 받으러 가기 전에 보장내역을 다시 한번 확인 후 방문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블로그 관련 문의는 아래 댓글에 남겨주시면 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