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 전기요금 특별지원 비계약자 신청 관련해서 몇가지 이야기를 해봅니다.
일단 기간은 3월 4일부터 5월 3일까지로 아직 넉넉하게 남아있는 편입니다.
그래도 돈은 빨리 받는 게 좋으니 이번달 안에 신청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신청을 하려면 직접계약자와 비계약자로 구분해서 해야하는데 여기서 비계약자는 본인명의로 전기사용계약을 체결하지 않은 경우를 말합니다.
여기까지 말하면 단순히 내 명의로 등록되지 않는 걸 말하는 건가 좀 헷갈릴 수도 있으니 비계약의 유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 전기를 단독으로 사용하지만 타인명의인 경우
- 타인과 함께 전기를 사용하고 별도의 전기요금이 표기된 관리비 고지서를 통해 요금을 납부하는 경우
- 타인과 함께 전기를 사용하지만 별도의 전기요금이 표기된 관리비 고지서 없이 자체적으로 요금을 분담하는 경우
전기를 단독으로 사용하나 타인명의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기요금 고지서 사본을 제출해야 합니다.
대신 타인명의의 고지서를 첨부할때 고객번호 외의 개인정보는 가려서 제출하면 됩니다.
두번째는 관리비 고지서를 통해 전기세를 납부하는 유형인데 오피스텔이나 아파트에서 사업장을 차리고 운영하는 경우도 이에 포함됩니다.
이런 경우에는 관리사무소 등의 직접계약자가 비계약사용자에게 발급한 관리비 고지서 사본을 제출해야 합니다.
2023년 1월부터 2024년간의 ‘관리비 세부내역서’를 관리사무소에 요청하면 되는데 한전 고객번호와 사업장 주소가 찍혀있도록 내역서를 뽑아 제출하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기타 자율관리유형인데 타인과 함께 전기를 사용하지만 자체적으로 분담해서 요금을 납부하는 경우 납부기간과 금액 및 직접계약자 서명 또는 직인이 날인된 전기요금 납부 확인서를 제출하라고 나와있습니다.
이게 참 골때리는 부분인데 납부확인서를 직접계약자에게 뭐 어떻게 받아야하는지 참 애매하긴 합니다.
관리사무소가 있다면 거기에 요청하면 되는데 나이 지긋한 분이 직접계약자면 아무리 설명해줘도 이거 못 합니다.
여기저기 다 알아보다가 ‘그냥 그 돈 안 받고 말지 시부레~’ 하면서 포기하길 원하는 모양입니다.
신청은 소상공인 전기요금 특별지원kr 홈페이지를 통해서 할 수 있으며 진행할때는 고객번호도 확인해야하니 고지서에 고객번호가 없다면 한전ON 홈페이지에 회원가입을 하고 직접 확인해야합니다.
예전에 소상공인 지원금은 한번에 클릭클릭해서 접수되게끔 했으면서 이건 꼴랑 최대 20만원짜리 주면서 뭐 이렇게 원하는 자료들이 많은지 모르겠습니다.
저도 소상공인 전기요금 특별지원 비계약자 접수를 진행하다가 서류도 복잡하고 고객번호가 자꾸 안 맞는다고 오류가 떠서 그냥 포기했습니다.
지금 사람이 많이 몰려서 오류가 종종 뜬다고 하니 다음주나 좀 사람 덜 몰리면 그때 다시 신청해보려고 합니다.
링크 : 온라인으로 행복지원대출 신청하는 방법
카카오페이 대출
요즘 안 그래도 돈이 없어서 머리 빠질라고 하는데 카카오페이에서 자꾸 대출 비교해보라는 알람을 띄워줍니다.
새로운 대출한도가 도착했다며 대출 신청하면 1년치이자 지원 기회도 준다고 자꾸 그러길래 한도 확인하기를 눌러봤습니다.
신용대출 신청하면 1000p주고 이자지원 추첨 기회도 준다고 해서 조회를 해봤는데 생각보다 나오는 곳이 꽤 있길래 더 대출을 받아야하나 계속 고민하고 있는 중입니다.
이번달에 월급 나오면 카드값으로 다 써도 부족한 상황이라 리볼빙을 신청할까말까 했는데 리볼빙은 이자가 거의 연 17~18%정도 나오니 그럴바엔 차라리 연 7~8%정도 되는 신용대출을 쓰는 게 더 낫겠다 싶더군요.
그래서 저녁에 와이프랑 좀 상의를 해볼 생각인데 이미 기대출이 많이 있어서 신용이 더 떨어질 것 같기도 하고 좀 걱정이 많습니다.
다른 일자리라도 구해볼까 했다가 나이가 많아서 주말 일자리도 다 짤리고 어디 뽑아주는데가 없네요.
대출 받고 열심히 아껴서 빨리 상환하던지 해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