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국 심장내과 교수 찾으시는 분들이 많아서 정확한 내용을 전달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EBS 명의를 보고 문의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심혈관이 걱정되는 당신, 세 가지를 기억하라!’편에 나왔던 분은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김병극 교수님입니다.
심근경색에 대한 내용을 보고 상담을 받기 위해 찾아보시는 분들도 있고 지인에게 추천을 해드리려고 찾아보는 분들이 있는데 다른 이름으로 혼동하여 다른 병원으로 찾아가는 일 없으시기 바랍니다.
관상동맥 구조
심장은 우리 몸의 엔진이라고 불리며 온 몸에 혈액을 공급하여 산소와 영양분을 전달합니다.
심장은 혈관으로 둘러싸여있고 혈관이 심장을 둘러싸고 있는 모양이 왕관같다고 해서 관상동맥이라고 부릅니다.
이러한 관상동맥이 좁아지게 되면 협심증이 생길 수 있고 혈전으로 인해 혈관 내부가 급격히 막히면 심근경색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관상동맥이 막혔을때 이를 빨리 개통하지 않으면 심근이 괴사하여 심부전에 빠지고 심장이 멎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막기 위해서는 건강검진을 받아서 혈관이 좁아지진 않았는지 미리 확인해야하고 혈관이 좁아진 상태라면 관상동맥 중재술과 같은 수술을 통해서 혈액의 흐름을 안정적으로 회복시킬 수 있습니다.
마치 오래된 수도관에 녹이 슬거나 찌꺼기가 쌓이는 것처럼 우리의 혈관에도 콜레스테롤이 쌓이기 때문에 이를 예방해주는 게 중요합니다.
심혈관질환 예방법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동맥경화는 동맥 어디서나 나타날 수 있습니다.
경동맥이나 뇌혈관쪽에 동맥경화가 나타나면 뇌경색이 생길 수 있고 심장쪽에 생기면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이 생길 수 있으며 다리에 있는 혈관이 막히면 다리 통증에서부터 괴사까지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심혈관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고혈압과 당뇨, 고지혈증을 관리해주는 게 중요합니다.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의 3가지가 혈관에 문제를 일으키는 주원인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검진을 받아서 혈관약을 처방받고 드시는 게 좋은데 약만 잘 챙겨드셔도 혈관이 막히는 일은 막을 수 있다고 합니다.
심근경색 전조증상
갑작스러운 추위가 찾아오면 심근경색으로 사망하는 환자들이 많이 나옵니다.
아무런 증상이 없다가 갑자기 쓰러지는 경우도 있고 밥을 먹은 게 잘 못 되었는지 내려가지 않는다며 답답함을 호소하다가 응급실로 실려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평소에 그 증상을 잘 확인해야하는데 일단 심근경색이 발생하면 가슴에 극심한 통증이 나타납니다.
평소에는 느끼지 못했던 가슴통증을 느꼈다면 즉시 병원에 가시는 것이 좋고 다리가 심하게 저리다면 하체에 혈관이 막힌 증상일 수도 있기 때문에 이 역시 자세한 검사를 받아보시는 게 좋습니다.
혈관은 한 군데에만 문제가 생기는 게 아니라 여러군데에 복합적으로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하체혈관이 막혔다면 다른 곳도 막혀서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급체한 것처럼 갑자기 소화가 안 된다는 것도 전조증상 중 하나이니 무조건 응급실에 가시는 게 좋습니다.
그 외에 한쪽 얼굴이나 팔다리에 힘이 빠지고 말이 어눌해지거나 하나의 물건이 두개로 보이고 턱이나 목, 등 부위에 극심한 통증이 생기는 것 역시나 뇌졸중과 심근경색의 전조증상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