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보락 개인정보 수집 유출 문제 관련해서

오늘 YTN에서 로보락 개인정보 수집 유출 문제에 대한 보도가 올라왔습니다.

국내 로봇청소기 시장 점유율 1위가 로보락이라는 것도 오늘 처음 알았는데 이게 중국 기업이라는 것도 처음 알았고 한국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중국에서 수집하고 처리했다는 것도 처음 알았습니다.

한국경제의 단독보도에 따르면 로보락은 지난 2월에 한국 고객들의 데이터는 중국으로 전송되지 않는다고 해명했지만 그로부터 한 달 뒤인 3월 31일에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개정하면서 중국에서 직접 개인정보를 수집·처리하는 방침이 추가되었다고 합니다.

그와 동시에 미국 데이터센터에서 한국 고객의 데이터를 수집한다는 문구가 빠졌다고 하는데 문제는 로보락의 무선 청소 기능을 활용하려면 스마트폰에 앱을 설치한 후 회원으로 가입을 해야한다는 점입니다.

로봇청소기는 카메라와 센서가 장착되어 있고 집 안 곳곳을 다 훑고 다니는 구조이기 때문에 그 데이터가 중국으로 바로 넘어가게 되면 단순 개인정보는 물론이고 영상 각 가정의 데이터까지 수집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중국의 데이터보안법의 경우 정부가 기업에 데이터를 요구하면 기업은 이에 협조를 해야한다는 규정이 있기 때문에 사실상 수집된 정보는 중국 정부의 손에 그대로 넘어간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서 로보락은 데이터 수집 주체가 중국 본사라는 의미일 뿐이지 실제 데이터는 미국 아마존 데이터센터에 저장되고 있고 로봇청소기가 수집한 영상 데이터는 암호화된 상태로 기기 내에 저장되기 때문에 외부 유출 우려는 없다고 해명했습니다.

업체의 해명이 있긴 했지만 아무래도 중국이라는 나라를 믿지 못하는 분들이 많아서 더욱 논란이 되고 있는 것 같은데 로보락은 사용자의 아이디와 IP주소, 기기 정보 등의 개인정보를 중국 항저우에 있는 본사와 공유할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더더욱 이를 믿지 못하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중국 항저우에 본사를 둔 사물인터넷(IoT) 기업 투야는 지난 2021년 미국 상원의원들이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을 이유로 제재를 요청한 적이 있는 기업이며 당시 중국 공산당이 투야에 미국인들의 개인정보를 요청할 경우 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 적도 있습니다.

말로는 안전하다 걱정할 필요 없다고 해명하고 있지만 현재까지 나와있는 여러가지 정책이나 상황을 보면 충분히 걱정할 만한 근거가 있기 때문에 로보락 사용자들은 주의해야 할 것 같습니다.

로보락 개인정보 수집 유출 문제에 대해서 검색을 해보시면 언론사에 올라와있는 내용도 있고 커뮤니티에 올라온 내용도 있는데 최근 개인유출 사건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만큼 정부에서도 적극 대응을 해줬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블로그 관련 문의는 아래 댓글에 남겨주시면 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