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스타그램에서 35세이상 임산부 지원금 의료비 50만원을 준다는 글을 봤습니다.
와이프가 현재 임신중이고 35세 이상이라서 찾아봤는데 이게 전국적으로 시행되는 건 아니고 서울시와 일부 지자체에서만 지원하는 정책이더군요.
일단 서울시에 거주하는 모든 35세 이상 임산부는 다 해당이 되니 최대 50만원의 산전 의료비를 지원받으시면 됩니다.
서울시는 임신 기간 중에 들어가는 외래 진료비나 검사비를 최대 50만원까지 지원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대상자는 서울시 임신·출산·육아 종합 플랫폼인 ‘몽땅정보만능키’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따로 소득구간 확인하지 않고 누구나 받을 수 있는 지원금이라 꼭 챙기시고 찾아보니 서울시 외에도 지자체에서 따로 챙겨주는 곳도 있으니 주민센터를 통해서 확인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언론사에 올라온 내용을 보면 전남 광양시에서도 고령임부 의료비 플러스사업이라는 이름으로 똑같이 35세 이상 임산부에게 진료비 및 검사비를 최대 50만원까지 지원하는 정책이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와있었습니다.
사용방식이 서울시랑은 약간 다르지만 전체적인 지원내용은 비슷하니 맘카페 등을 통해서 우리 지역에도 이런 지원사업이 있는지 확인해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35세이상 임산부 지원금 의료비 50만원
이번 서울시의 지원정책은 산부인과 외 타과 진료비 발생 건으로도 신청할 수 있고 대신 임신 유지를 위해서 필요한 진료였다는 의사의 소견이 있을때 적용 가능합니다.
임신을 확인한 후부터 출산 후 6개월 이내에만 임신확인서, 진료비영수증, 진료비 세부내역서 등의 관련 구비서류를 몽땅정보만능키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하면 되고 신청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몽땅정보만능키(https://umppa.seoul.go.kr/) – 지원서비스 신청 – 35세 이상 임산부 의료비 지원 – 신청하기
신청하실때는 미리 회원가입을 해두셔야 하고 타인 명의의 아이디를 사용하는 식으로 약관에 위배되는 행위를 하면 서비스 이용이 중지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임신을 하면 정부나 지자체에서 이것저것 챙겨주는 것들이 꽤 많은데 그걸 각각 신청해야해서 좀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원스톱으로 한번에 신청할 수 있으면 좋은데 아직까지 그 정도로 편의를 봐주고 있진 않으니 일단 출생신고할때 주민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는 건 싹 다 신청하시는 게 좋고 출산 전에 해야하는 것들도 다 체크해두는 게 좋습니다.
출산과 관련된 지원을 요약하면 대략 이 정도로 나옵니다.
-
- 임신 출산 진료비 100만원
- 35세이상 임산부 지원금 의료비 50만원
- 임산부 교통비 70만원
- 첫만남 이용권 200만원
- 출산장려금 200만원
- 산후조리경비 100만원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지원(산후도우미) 약 94만원
- 부모급여 1800만원
- 가정양육수당 620만원
- 아동수당 960만원
- 출산휴가 급여 최대 630만원
-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 최대 1,607,650원
- 육아휴직 급여 최대 7840만원
그냥 인스타그램에서 주워들은 내용만 정리한 거라 빠진 부분이 있을 수도 있지만 대충 요 정도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하나씩 검색해보시고 어떻게 신청하는지 언제 신청하는지 확인하면 되는데 저도 이제 슬슬 하나씩 확인해보고 달력에 신청할 수 있는 날짜를 표시해놓을 생각입니다.
아이가 생기니 돈 나갈 일도 많고 걱정도 앞서고 하지만 나라에서 이것저것 지원을 해준다니까 그나마 좀 마음이 놓이긴 한데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니 주말이나 쉬는날 놀지 말고 쿠팡 알바라도 나가서 한 푼이라도 더 벌어와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