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 알아보니

2023년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 확인해봤습니다.

매월 얼마를 벌어야 하는지 100%의 기준을 찾아보니 아래와 같이 나왔습니다.

  • 1인가구 : 2,077,892원
  • 2인가구 : 3,456,155원
  • 3인가구 : 4,434,816원
  • 4인가구 : 5,400,964원
  • 5인가구 : 6,330,688원
  • 6인가구 : 7,227,981원

2023년 상향된 소득내역을 기준으로 잡은 자료입니다.

가구원 수에 따라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올해는 최저시급이 작년 대비 5% 인상되어 9,620원이고 최저임금은 월 2,010,580원이라고 합니다.

그러니까 한달에 최저 200만원은 받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주 40시간 근무시 주휴수당을 포함하면 대략 201만원은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사상 첫 최저월급이 200만원을 돌파하는 해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마냥 기뻐해서는 안 됩니다.

최저임금이 오른 만큼 다른 요금들이 줄줄이 인상되기 때문입니다.

전기요금부터 대중교통요금까지 싹 오르는데 택시요금은 기본 1천원 인상되고 대중교통은 8년만에 인상된다고 합니다.

지하철 요금은 카드요금을 기준으로 기존 1250원에서 1550원으로 오르고 시내버스는 1200원에서 1500원으로 각각 300원씩 인상된다고 합니다.

휘발유 가격도 리터당 99원 인상된다고 하는데 벌써부터 이 난리이니 올해도 망했구나라는 생각이 듭니다.

기준 중위소득이란 무엇인가?

전 국민을 100명으로 계산했을때 소득 순위 50번째에 해당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그러니까 딱 중간에 있는 사람의 소득은 얼마인지를 나타내는 자료인 셈입니다.

기본이 100% 기준이며 30~50% 사이는 의료급여, 생계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등등 복지혜택을 받는 구간을 말합니다.

2023년에는 2인가구 기준으로 3,456,155원은 벌어야 중간정도 소득을 벌고 있다는 것인데 여러분은 어느 구간에 해당하시나요?

월급 300만원을 넘으면 그래도 나름 괜찮은 거 아닌가 싶지만 커뮤니티에는 500만원도 못 버는 사람 어쩌고 하는 글들이 워낙 많으니 이제는 기준을 잘 모르겠습니다.

결혼을 하려면 월 1천만원은 벌어야한다는 사람들도 있고 뭐 남들이랑 비교하면 끝도 없으니 그냥 열심히 사는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저는 코로나가 터진 이후로 원래 소득의 1/3까지 줄어드는 큰 타격을 입었습니다.

모아놓은 돈도 다 날렸고 대출도 서민지원이니 코로나지원이니 하는걸로 다 땡겨서 총 5천만원까지 빌려다가 썼습니다.

처음으로 전세보증금 말고 일반 신용대출로 5천만원이란 부채가 처음 생겨봤는데 지금도 어쩌다가 이렇게까지 된 건지 어안이 벙벙할 지경입니다.

특례보증이니 뭐 여러가지 지원을 다 알아봤고 지금은 개인사업자로 빌릴 수 있는 게 더 있는지 찾아보는 중인데 업력이 오래되면 그닥 받을 수 있는 게 없는 것 같습니다.

폐업관련해서 도와주는 게 있는 것 같으니 정 안 되면 다 접고 폐업지원금이나 받던지 해야할 것 같습니다.

최저신용자 특례보증 서비스란 무엇인가

정부지원 관련

기초생활수급자나 긴급생활지원이나 그런 정책들을 이용하려면 소득수준이 일단 낮아야합니다.

아예 소득활동을 할 수 없는 상황이던지 아니면 코로나로 인해서 일시적 소득이 감소된 상태이던지 그런 기준들이 있습니다.

동사무소에 찾아가면 도와주는 공무원이 있으니 가서 설명 듣고 자격이 되는 지원금이 있나 확인하셔야 합니다.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자료를 보면 월소득이 나오는데 내가 얼마를 벌고 있는지 정확하게 체크하려면 국민건강보험에 들어가셔야 합니다.

본인이 건강보험료를 얼마나 내고있는지 찾아서 직장가입자 또는 지역가입자로 얼마나 내는지 납부액을 기준으로 소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납부액이 적으면 적은만큼 소득도 낮다는 의미이니 정부에서 추진하는 복지정책에 해당되는 내용도 있을 수 있습니다.

저도 내일 오전에 동사무소에 찾아가서 받을 수 있는 지원금이 있는지 알아보려합니다.



둘이 먹고살기에 너무 부족한 터라 뭐라도 좀 받을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리드코프 무직자 연체자 대출 진행 관련


(블로그 관련 문의는 아래 댓글에 남겨주시면 됩니다.)

Leave a Comment